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home2 › 게시판 › React 게시판 › JSX문법 질문입니다!
props로 넘어온 것들을 jsx문법안에서 보여줄때 가끔
const Example = ( props ) =>{
return(
<div>
{ props.AAA && props.BBB } // 이런식으로 앤드문을 사용해서 같이 보여주던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 코드 자체가 어떤걸 뜻하는지, 왜 이렇게 사용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div>
);
}
짧은 코드로 false인 값들 체크하려고 쓰는건데
뒷부분에 있는 리액트 if문 어쩌구 강의를 참고합시다
확인했습니다
조건식 && { 보여줄 프록스 , div 태그 기타 등등..}
여기서 조건식이 true면 오른쪽에있는 걸 실행시켜준다는건데.
근데 이 조건식에 true나 false가 아닌 props같이 데이터가 들어와도 실행이 되는데
이런 경우는 데이터가 들어오기만 해도 실행되는것인가요?
조건식 자리에 false, undefined, null, 0 이런 것만 안오면 true랑 똑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조건식 자리에 굳이 쓰는 이유는 false, undefined, null, 0 같은 오류나 데이터가 안넘어오는걸 방지하기 위해서 쓰는건가요?
if ( 조건식 ){
{ 보여줄 프록스 , div 태그 기타 등등..}
이런 경우도 같은 경우인것이구요?
props.AAA && props.BBB
리액트에서 이렇게 쓰는 경우 1. props둘 중 하나가 undefined 값이 나오면 undefined를 남겨주고 (undefined 말고도 0, null 이런 false 관련된 값이 나오면 그걸 남겨줍니다)
2. undefined가 없으면 맨 마지막 props.BBB를 남겨줍니다
그러므로 props.AAA가 있으면 props.BBB를 이 자리에 남기라는 뜻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