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 변수안에 컴포넌트를 넣어서 만들 때에는 let Product = () => {} 이렇게 한다고 하셨는데 이 경우 App 컴포넌트 return 이전에 넣어야 정상 작동을 하던데 원래 그런걸까요? 아니면 제가 뭔가 빼먹은 걸까요? 일반적인 함수 만들듯이 하면 아래에 놔도 return안에서 마음대로 가져다 쓸 수 있더라구요. 이 경우 memo를 쓸 때만 사용하는 방법일까요?
2. 일반적으로 자바스크립트에서도 일반적으로 function 이름 ()=>{}으로 많이 하는지 let 이름 = ()=>{}으로 많이 하는지? 그 용도와 빈도가 궁금합니다. 그냥 취향껏일까요??
3. 자바스크립트에서 코딩을 할 때는 함수를 만들어서 이벤트리스너에 넣어줬었는데 리액트에서는 각 요소의 onclick나 onchange에 넣어주는 것이 일반적인 걸까요??? 아니면 useEffect에 이벤트리스너를 만들어서 함수를 넣어주는 게 일반적인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