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5분 숙제 (1)
리스트 = [ '삼성전자', '카카오', '네이버', '신풍제약' ] 이런 리스트가 하나 있습니다.
Q. 이걸 다음과 같은 txt 파일로 저장하려면 어떻게 코드를 짜야할까요?
(이런 모양의 txt 파일을 만드십시오)
오늘의 5분 숙제 (2)
Q. 구구단을 2단부터 9단까지 결과부분만 쭉 출력하고 싶으면 어떻게 코드를 짜야할까요?
예를 들면
2
4
6
...
18
여기까지가 2단이고 9단까지 쭉 한번에요.
다음시간 반복문 강의를 듣고 풀어보도록 합시다.
파이썬 코드를 짜다가 중간에 간단한 txt/csv 파일을 생성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어떻게 하는지 알아봅시다. csv 파일은 엑셀에서도 오픈할 수 있어 엑셀 또는 DB 대신 간단히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파일 쓰는 법
파일 = open('a.txt', 'w')
파일.write('hello')
파일.close()
이렇게 오픈하고 글쓰고 닫고 하시면 됩니다.
- a.txt라는 파일이 없으면 하나 만들어줍니다.
- 이미 있으면 내용 덮어쓰기를 합니다.
파일 읽는 법
파일 = open('a.txt', 'r')
print( 파일.read() )
파일.close()
이렇게 오픈하고 읽고 닫고 하시면 됩니다.
파일에 내용추가하는 법
파일 = open('a.txt', 'a')
파일.write('hello')
파일.close()
이렇게 a라는 모드로 오픈하고 글쓰고 닫고 하시면 됩니다.
append라는 모드입니다. 내용을 덮어쓰기하는게 아니라 기존 내용에 hello라는 글자를 추가만 해줍니다.
csv파일 작성하기
csv 파일은 콤마로 여러 값들을 저장할 수 있는 파일 형식입니다.
학생1,남자,170
학생2,여자,180
이런 식으로 작성하고 .csv 파일로 저장하시면
▲ 엑셀이나 numbers 등에서 이렇게 오픈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으로 간편하게 엑셀자료 만들고싶을 때 쓰면 됩니다.
파일 = open('a.csv', 'w')
파일.write('학생1,남자,170')
파일.write('\n학생2,여자,180')
파일.close()
csv파일도 그냥 이렇게 오픈하고 글쓰고 닫고 하시면 됩니다.
\n 이라는 표시는 개행하겠다는 특수기호입니다. 걍 엔터키치는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엑셀에서도 엔터키로 개행을 해야 다음 행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니까요.
\ 기호는 엔터키 위에 있습니다.
그리고 원래 코딩의 근본은 파일에 작성된 문자나 숫자 데이터를 읽어서 내맘대로 변형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 방법을 알면 이론상 모든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