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알려주신 강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혼자서 백엔드 개발을 해보고 있는데요.
궁금한점이 생겨서 질문드리려고 합니다.
create 하는 과정에서 연관관계가 상위 테이블 하나에 하위 onetomany 관계로 5개의 테이블이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프론트엔드는 이 테이블들을 (상위,하위 총 6개) 한번의 완료버튼으로 생성을 해줘야하는데, 의문이 생겼습니다.
첫째로는 api호출을 할때 완료버튼을 누르면 테이블 마다 각각 호출을해서 생성해주는게 restful한거라고 생각하는데,
프론트엔드에서의 페이지는 하나여서 이걸 백엔드에서 하나의 api로 통합해줘야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제가 고민한 부분은 만약에 각각 호출해서 하나처럼 보이게 하는 경우라면
혹여나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이 끊긴다거나 컴퓨터가 꺼졌을때 문제가 될수도 있다라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그래서 제가 생각한건 이 api들을 하나의 api로 만들어주는건 어떨까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근데 여기서 하나로 통합해줬을경우 결국 하나의 상위테이블이 있어야 이 테이블의 pk를 fk로 가지고 있는 5개의 하위테이블들이 생성이 가능할텐데..
어떻게 처리를 해줘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둘째로는 삭제하는 경우인데요. 기본적으로 delete를 호출하게되면 db에 해당 row가 삭제되는건데
만약에 삭제는 되었지만, 해당 pk 값을 유지한채로 삭제하는 경우 즉 , delete_datetime 컬럼을 추가하여 이걸로 삭제를 판별하고 실제 db에는 데이터가 보존되는 경우는 잘 쓰이는 방법인지
잘 쓰인다면 어느경우에 이런 방법을 채택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