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쉽게 배우는 Sass 기초 1편 : 셋팅

 

 

 

CSS라는 언어는 매우 원시적인 언어입니다.

그냥 저거 h4태그의 색깔이 어쩌고 저쩌고하는 스타일만 넣는 언어니까요.

그런데 CSS가 몇천줄이 넘어가기 시작한다면 CSS 관리 자체로도 큰 부담이 됩니다.

 

그래서 착한 사람들이 이런 상황에서 여러가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Preprocessor (전처리언어) 라는걸 만들어냈습니다.

그 중 하나인 Sass는 CSS를 조금 더 프로그래밍 언어스럽게 작성할 수 있는 문법들을 제공합니다.

프로그래밍스러운 변수, 함수, import, 상속 등의 기능을 CSS에서 이용가능한데

굳이 안써도 됩니다만 배우고나면 몇천줄의 CSS작성도 끄떡없는 CSS 파이터로 전직하실 수 있습니다. 

 

 

 

 

 

SASS 라는 전처리 언어 쓰려면 일단 개발환경 셋팅부터

 

왜냐면 웹브라우저는 CSS 파일밖에 모릅니다. SASS 이런거 모름 

그래서 SASS 로 코드를 짰으면 그걸 CSS 파일로 변환해주는 변환기를 돌려서

변환된 CSS 파일을 HTML 파일과 쓰셔야합니다. 

 

변환하려면 node.js 설치하고 터미널 켜서 npm init인지 install인지 어쩌구라고 나오는데

그것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크기 때문에

우리같은 컴알못 일반인들은 VScode 에디터의 힘을 빌리는게 좋습니다.

 

VScode를 이용하려면

 

1. 일단 VScode 에디터를 설치하시고 

 

2. 좌측에 보면 extension 메뉴가 있습니다. 눌러서 

Live sass compile 검색해서 높은 버전을 설치합니다 (5.0.0 버전 이상 제발)

 

 

(검색하면 두어개 나올텐데 5.0 버전 이상 설치안하면 큰일남)

 

 

3. 그럼 이제 하단에 Watch Sass 버튼이 생기는데 누르면

현재 작성한 SASS 파일을 자동으로 CSS 파일로 변환해줍니다.

하단 바가 안보이면 View - Appearance - Status bar 켜면 됩니다. 

 

 

 

 

[collapse]
아니면 VScode 안쓸거면 이런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https://scout-app.io/

이런 프로그램 다운받아 쓰면 됩니다. 

근데 업데이트가 안되어서 요즘 SASS 문법은 못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1. 압축을 풀거나 설치하신 후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2. 프로그램에서 내가 코드짜던 작업폴더를 통째로 엽니다.

3. 그 다음에 셋팅하시고

4. 재생버튼을 누르시면 여러분이 Sass 문법으로 작성한 코드들을 알아서 자동으로 CSS파일로 변환시켜줍니다. 끝

 

 

 

셋팅은 어떻게 하냐고요?

 

 

형광펜으로 표시한 부분만 건드리시면 됩니다.

Input Folder는 여러분이 작성할 SASS 파일들이 담긴 폴더,

Output Folder는 자동으로 CSS로 컴파일된 최종파일이 담길 폴더입니다.

잘 지정하신 후에 재생버튼 누르시면 셋팅 끝입니다. 

 

 

[collapse]

 

 

 

 

 

SASS 문법 1 : 값을 저장해놓고 쓰는 '변수' 

 

프로그래밍 배울 때 시험대비하듯 문법만 쭉 가르치는 나쁜 놈들이 있는데

그렇게 배우면 혼자 응용을 못합니다.

그럼 안되니 이걸 배우면 뭐가 좋은지 어디다 쓸지부터 설명해드리겠습니다.

 

 

CSS로 색상 지정할 때 #2a4c6e 이런 이상한 칼라코드를 사용합니다.

외우기 힘들지 않습니까. 복붙하려해도 귀찮습니다.

SASS 파일에선 이런 어려운 값들을 예쁜 한글로 치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라는 문법을 쓰면 되는데 변수 문법은 어려운 값들을 이쁜 단어에 저장해서 쓸 수 있게 도와주는 문법입니다. 

 

(test.scss)
$메인색상 : #2a4c6e;
$서브색상 : #333333;

.text {
  color: $메인색상
}
.box {
  background: $서브색상
} 

 

 

1. 우선 SASS 쓰려면 test.scss 파일 만들고 거기에 적어보십시오. SASS 파일은 항상 파일 확장자가 .scss로 끝나면 됩니다.

2. $기호를 사용하신 후 이쁜 이름을 작명하고, 거기에 저장할 더러운 값을 오른쪽에 적으시면

이제 $이쁜이름을 쓸 때마다 더러운 값이 그 자리에 남습니다.

 

위에선 #2a4c6e 라는 더러운 값을 $메인색상으로 저장했습니다. 

그럼 이제 #2a4c6e 이 색이 필요할 때 마다 귀찮게 #부터 적는게 아니라

$메인색상 이라고 깔끔하게 적을 수 있습니다.

훨씬 기억하기 쉽습니다. 

 

 

이것이 Sass에서의 변수 문법입니다.

- 이거 말고도 width, font-size 등 자주 쓰지만 기억하기 어려운 값들을 넣으면 매우 편리합니다.

- $변수이름은 영어도 좋고 한글도 잘 먹습니다. 

- 많은 곳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값들도 저기 넣으면 좋습니다. 

 

▲ 왜냐면 나중에 변경이 쉬워지니까요. 

예를 들어서 지금 온갖 곳에 적용중인 사이트 메인 색을 #2a4c6e -> #444444 이렇게 변경해야한다고 칩시다.

대충 색상코드만 붙여넣기식으로 개발했다면 이 색을 전부 일일이 찾아서 바꿔야겠죠?

하지만 변수로 집어넣으셨으면 변수정의만 $메인색상 : #444444; 살짝 바꿔버리면 다른 곳도 바뀝니다. 

나중에 수정과 관리가 쉬워지겠군요.

 

 

 

 

사칙연산도 바로바로 가능합니다.

 

(test.scss)

$기본사이즈 : 16px;

.box {
  font-size : $기본사이즈 + 2px;
  width : (100px * 2);
  height : (300px / 3)
}

그럼 진짜로 연산해줍니다. 

덧셈뺄셈은 px 단위는 px 단위끼리, % 단위는 % 단위끼리 이렇게 단위 맞춰주셔야하고

곱셈 나눗셈은 보통 뒤에 단위를 쓰지 않습니다. 쓰면 이상한 자료형이 됩니다. 

곱셈 나눗셈은 괄호 안에 작성해야 잘 먹습니다. 

 

파일 저장해보시면 CSS로 자동변환해준 파일에서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겁니다.

 

 

 

(참고1) SASS없이 그냥 CSS 파일에도 var() 이걸 이용해서 변수문법을 사용가능합니다. 

(참고2) 그냥 CSS 파일에서도 calc() 라는 함수를 이용하면 사칙연산을 사용가능합니다. 

 

 

 

 

SEE ALL Add a note
YOU
Add your Comment

About

현재 월 700명 신규수강중입니다.

  (09:00~20:00) 빠른 상담은 카톡 플러스친구 코딩애플 (링크)
  admin@codingapple.com
  이용약관
ⓒ Codingapple, 강의 예제, 영상 복제 금지
top

© Codingapple, All rights reserved. 슈퍼로켓 에듀케이션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19길 30 / 사업자등록번호 : 212-26-14752 온라인 교육학원업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7-서울강동-0002 호 / 개인정보관리자 : 박종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