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copy = [...따봉];
copy[i]+=1;
console.log(따봉);
console.log(copy)
따봉변경(copy)
...을 써서 딥카피를 하는게 원본을 보존하려고 한다고 알고 있는데요
콘솔로 찍어보면 따봉과 copy가 둘다 변합니다. 이게 그 state는 그대로 있고 copy를 따봉에 덮어 씌워서 그런건가요?
따봉의 state는 그대로 있는건가요? 빡대가리라 어렵습니다
그리고 그 오브젝트자료 가르키는 화살표라고 하시던데 이 화살표는 명칭이 뭔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