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ux-thunk는 리덕스 툴킷을 설치하면 같이 내장되어있는거로 사용해왔습니다.
(예전에는 하나하나 설치해줬었던걸로 기억해요..)
api비동기통신과 로딩을 좀더깔끔하게 구현해주기위해서 리덕스툴킷,redux-thunk를 사용했었습니다.
근데 최근에 react-query를 쓰는걸봤는데 api비동기통신이랑 로딩처리해주는게 리덕스사용하는것보다 더 깔끔한거같더라구요
게다가 데이터캐싱(선생님앞에서 전문용어 하룻강아지 범무서운줄모르고 ..죄송합니다) 까지 되는거같고 더좋은거같은데..
리덕스는 전역 state를 관리하는데에만 사용하고, 리액트쿼리를 사용해서 api통신을 해주는게 나을까요?
근데 이제 또 여기서 문제는 리덕스thunk를 사용했을때는 그 코드 한파일 안에서 api통신 이루어지게 하고 로딩처리해주고 전역state에 담아주기까지하는 등
등..을 해줘서 한눈에 코드가 보였다면,
리액트쿼리랑 리덕스를 같이사용하게되면 리액트쿼리를 사용하고, 리덕스 액션함수를 통해서 그 데이터를 리덕스 state에 집어넣어줘야하는거잖아요?
좀 번거로울거같고.. 선생님은 어느게 더 좋은방향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프로젝트 상황에따라서 협의해서 맞춰가는거라고들 하시지만.. 취준생이고 아직 협의라는게 뭔지 모르는 제 입장에서는
그냥 조금 더 간편해보이고 조금더 쉬워보이는거를 따라가면 되는건가요?ㅠㅠ
부탁드립니다 선생님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