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home2 › 게시판 › JavaScript, TS 게시판 › "스크롤 위치에 따라 변하는 애니메이션 "에서 일차함수
일차함수 공식 y = a * 높이 + b
에서
1 = a * 650 + b 0 = a * 1150 + b
이 조건이 도출되는것은 이해했는데요,
이 조건에서 어떻게
a = -1/500 b = 115/50
라는 결론이 나오는지 , 과정을 알 수 있을까요?
(졸업한지 너무 오래되서...ㅠ)
이거 수식 두개를 뺄 수 있습니다 등호 왼쪽끼리, 오른쪽끼리 빼면 됩니다
빼면 1 = -500a 가 나옵니다
그래서 a = -1/500
그리고 이걸 위의 식 하나에 대입하면 b는 나옵니다
같은 문제로 질문하려다 게시판에 이미 질문이 올라와 있어서 어느 정도는 이해가 됐는데
a의 값이 = -1/500이면
1 = a * 650 + b에 대입하면
1 = -1/500 * 650 + b이니까
b의 값이 2.3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b의 값을 표기할 때 115/50으로 쓰는 이유는 뭔지 알 수 있을까요?
115/50도 결국 2.3으로 값이 나오니 2.3이나 115/50이나 결국 값은 똑같은데
115/50으로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15 나누기 50을 직접 계산하기 귀찮으면 그렇게 씁니다
컴퓨터가 알아서 계산해주니까요
제가 질문을 제대로 못한 것 같은데요.
b의 값이 115/50으로 사용해서 결국 2.3값만 나오면 되니까
23/10, 43/20 이런 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제가 궁금한 것은 어떻게 갑자기 115/50이란 숫자가 나왔는지 궁금해서 질문했습니다.
일차 함수에 대해 잘 모르다보니 115와 50이란 숫자가 어떻게 나오는지 궁금해서 질문하게 됐습니다.
1 = -1/500 * 650 + b 에서
b = 1150/500 이 나오는데 그냥 심심해서 10으로 위아래 나눠서 약분했을 뿐입니다
1 = a * 650 + b 0 = a * 1150 + b 빼면 -500 나오고 1 = a * - 500 1 = -500a 1 / -500 = a * -500 / -500 a = -1/500 //1 / -500 이나 -1/500이나 같음 ㅅㄱ //a 대입 0 = a * 1150 + b 0 = -1/500 * 1150 + b b = 2.3 -1/500 * 1150이 -2.3 이니까 b가 2.3이면 0이 성립하잖슴 그럼 -2.3을 양수로 바꿔주면 2.3이니까 b = 1/500 * 1150 이하 같음 b = 1150/500 b = 115/50
도통...뭔말인지...모르것어요...슨생님 $('.card-box').eq(0).css('opacity',y)에서 y를 굳이 왜 y라고 한건가요? u라고도 할수 있는 거 아닌가요? y=ax+b가 1차함수 방정식으로 아는데 y = a*높이+b라는 공식은 어디서 나온건지 모르겠어요...
u라고 해도 됩니다 높이에 따라서 y값이 일정하게 직선으로 변해야해서 높이를 x로 둔듯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