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생님 ㅎㅎ :)
next 강의 정말 알차게 잘 들었습니다.
강의를 다 듣고 응용을 해보려고 이것저것 시도해보는 중인데요,
토큰을 재발급 받을때 강의에선 github만 다뤘는데, 카카오랑 네이버도 한번 추가해보려고 합니다
각각의 사이트마다 요청 url과 params의 차이가 있는것 같은데
Q1. 소셜 로그인
1. 어디까지나 제 생각이지만, token에 저장할때 provider를 넣어준뒤
2. 토큰을 요청할때 switch case를 사용해서 provider를 case마다 구분해주고
3. 각각의 case마다 전역변수로 설정한 url과 params를 각기 다르게 설정하면 되는 부분일까요?
Q2. Credential
일반 로그인같은경우에는
1. JWT 설치후
2.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을 발급해주는 함수를 따로 만든다음데
3. 최초 로그인시 헤더에 access token을 쿠키에 저장해주고 / refresh token은 DB에 저장해준뒤
4. get post 요청시에 middleware를 사용해서 만료 여부를 체크한후 ( axios interceptor 말고 middleware로 토큰 유효체크하는 방식도 맞는건가요..?)
5. 만료시에는 발급 함수를 사용해서 재발급을 해주고
6. 새로운 access token은 다시 헤더 쿠키에 저장해주고 / 새로운 refresh token은 DB에 저장해주면 되는 부분일까요?
Q3. 갱신 고장이슈에 관해서
제가 여러번 테스트해봤는데.. 토큰 재발급 및 저장이 제대로 작동하는듯한데.. 버그라고 하신부분이 최근에 수정이 된건가요..?
급하게 쓰느라 내용이 조금 지저분하고 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ㅠㅠ 항상 감사합니다!
++ 추가 질문
next js 내용과 상관없는 질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최근에 interactive web에 관심이 많은데요..
three.js의 전망이 어떤가요..? 취업에 도움이 되려나요.. ㅎㅎ;
(그냥 취업후에 취미로 조금씩 찍먹을 해볼까라는 생각도 드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