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플님,
덕분에 리액트도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
useState 배우고 있는데, 'b'부분이 궁금합니다.

let [a, b] = useState()에서
a는 useState의 파라미터(들), b는 a를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b가 기본적으로 생긴 원형이 궁금합니다.
위 예시 코드로는
따봉변경(따봉+1) {
따봉 + 1;
}
위의 함수로 보이는데, 함수의 실행문이 파라미터와 동일하다 보면 될까요?
즉, useState의 두번째 실행 함수 b는,
function b(파라미터=실행문){
파라미터=실행문
}
라고 이해하고 가면 될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