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만들었던 프로젝트에서 웹 크롤링을 했었는데,
요청 후 response.data를 출력해보면
html요소가 잘 나옵니다만,
다른 프로젝트를 새로 만든 후, 똑같은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response.data를 출력해보면
아래와 같이 외계어가 주르르륵 나오는데요,
동일 코드를 이전 프로젝트 폴더로 옮긴 후, 다시 실행해보면 매우 잘됩니다.
전 response객체의 data 인코딩 이슈라고 생각합니다.
코드상에는 이를 설정할만한 파라미터같은건 따로 없는데요,
코드상 문제는 없는걸로 보이고, 프로젝트의 환경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찾아보면 axios, cheerio 말고는 설치하는게 다들 따로 없으신거같아요.
혹시 해당 이슈의 원인을 알고계시면 도움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