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config.js에서 outputDir를 작성해서 백엔드쪽에 생성이 되었던 거였습니다.
해당코드를 삭제하고 npm run build를 하니 service-worker.js, workbox-5b385ed2.js 등이 생성되었습니다.
코딩애플님과는 생성된 파일이 다르긴 하지만
영상에 나온 precache-menifest.js에서의 코드가 저에게는 service-worker.js의
define(["./workbox-5b385ed2"], function (e) {
"use strict";
e.setCacheNameDetails({ prefix: "frontend" }),
self.addEventListener("message", (e) => {
e.data && "SKIP_WAITING" === e.data.type && self.skipWaiting();
}),
e.precacheAndRoute(
[
{ url: "/css/app.8df8fdc3.css", revision: null },
{ url: "/index.html", revision: "8f38451eb40276cec84da083233bd4b8" },
{ url: "/js/app.27f183c9.js", revision: null },
{ url: "/js/chunk-vendors.34d498e5.js", revision: null },
{ url: "/manifest.json", revision: "4b14c64efaf846819b9a229b4193c8b7" },
{ url: "/robots.txt", revision: "b6216d61c03e6ce0c9aea6ca7808f7ca" },
],
{}
);
});
이 코드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파일을 수정하고 새로 시작할 때마다 npm run build를 한 뒤 npm run serve로 시작하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cache에 대한 코드는 vue.config.js파일에 넣으면 되는 건가요?
인터넷에서는 service-worker.js에 작성하는 사람들도 있어서 헷갈립니다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