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런경우에 Redux-perist를 적용해야 하는게 맞는건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현재 만들고 있는건 음성채팅방 이구요 . 방 안에는 참가자들의 이미지들이 리스트 형태로 나열되있습니다.
방장의 경우 이미지 위에 왕관을 표시해 주는데요
방장이 변경됬을 때 이런식으로 로직이 진행됩니다.
1. A가 음성채팅방을 생성하면 서버에 방이 생성되고 방장은 A
2. 방 정보를 불러옴
3. 해당 방 정보 중 방장(A)의 idx를 state에 저장 " const [room_manager,set_room_manager] = useState(룸정보.방장idx)
4. 음성채팅방 (클럽하우스같은) 에 A(방장) ,B,C 가 있음
5. A(방장) 이 B에게 방장위임 버튼을 클릭
6. socket으로 서버로 B의 idx값 전송
7. 서버에서 해당 채팅방의 방장을 idx로 바꾸고 클라이언트로 변경된 방장의 idx를 다시 보내줌
8. 해당 방에 있는 참가자들(A,B,C) 모두 변경된 방장의 idx(B의 idx)를 받음
9. set_room_manager(변경된 방장 B의 idx) 를 함
10. room_manager state 의 방장의 idx 값에 따라 방장에게만 왕관 표시를 해줌
근데 문제가 이 경우 위 3번에 따라 초기 방장의 정보가 있기에 새로고침 시 A한테 왕관이 표시됩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런것에도 redux-perist를 적용해야 하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