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커서에디터 설치는
2:19 Gemini CLI 쓰려면 & Node.js 설치
5:00 MCP 쓰려면 Python, Node.js 자주 필요
5:34 작업폴더열기
7:03 무료버전은 개인정보 수집해감
요즘은 시대가 바뀌어서 내 컴퓨터에 AI를 설치해서 쓰는 시대가 왔습니다.
근데 그냥 웹페이지에서 쓰는것처럼 질문답변만 해주는 AI가 아니라
요즘은 Agent라고해서 AI가 직접 생각을 하고 판단하는 AI를 쓰는게 대세가 되었습니다.
AI가 내 컴퓨터에 있는 파일읽기, 파일쓰기, 브라우저 사용 이런걸 해줄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작업을 더 빠르게 시켜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인생이 편해질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agent 쓰려면 직접 코드짜고 이거저거 셋팅할 것이 많았는데
근데 요즘은 그냥 프로그램 하나 설치하면 끝입니다.
Windsurf, VSCode Github Copilot, Junie, Cursor
코드 에디터와 일체화된 형태로 쓰고 싶으면 여기서 골라서 하나 선택해서 설치하면 되겠습니다.
보통 월간 무료 사용량을 50건 정도 제공해줍니다. (그래서 여러개 설치해서 돌려막기도 가능)
저는 가장 유명한 Cursor를 주로 사용해볼 것입니다.
Claude Code, Gemini CLI
이건 터미널 안에서 사용해야하는 프로그램들입니다.
터미널 다뤄봤으면 편리할 수 있는데 터미널이 어려운 것은 아니라 아무나 쉽게 쓸 수 있습니다.
그래서 Gemini CLI 설치 법도 첨부해드립니다.
Cursor
Cursor 에디터는 원래는 코드에디터이긴 한데 Agent 모드도 들어있고 MCP도 사용 가능한 코드 에디터입니다.
그래서 코딩 말고 다른 업무 시킬 때도 유용한 툴이 되겠습니다.
매월 무료로 50건의 AI 요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설치는 그냥 구글에 Cursor 검색해서 자기 OS에 맞는거 설치하면 되겠습니다.
근데 무료 사용량이 제한이 약간 있어서 사용량 다 쓰면 매월 20달러를 결제를 해야하는데
그런거 싫고 사용한 양만 부담하고 싶으면

Cursor 설정 들어가보시면 Models - API key 부분이 있는데
여기다가 API 키를 입력해두고 그 모델만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예를 들어 OpenAI 플랫폼 들어가서 카드등록하면 GPT의 API 키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앞으로 사용할 Agent 모드 쓰려면 API 키 사용이 불가능해서 참고만 합시다.
Gemini CLI
Gemini CLI라는 프로그램이 요즘은 무료 사용량을 하루 1천건이나 주기 때문에 그걸로 시작해도 괜찮습니다.
근데 이 친구는 터미널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터미널 안써본 분들은 약간 새로울 수 있는데 딱히 터미널 켜는게 어려운게 아니기 때문에 그냥 멋있는거 좋아하면 써보셔도 됩니다.
기능은 agent 기능이랑 MCP 기능이 전부 들어가있어서 Cursor 대신 사용가능합니다.
설치하려면
1. Node.js를 구글에 검색해서 설치합니다.
- LTS라고 써있는 내 OS에 맞는 버전 다운로드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 ARM CPU를 쓰면 ARM이라고 써있는 버전을 다운로드 합시다.
- 설치시 기본 경로 건드릴 필요는 없고 Chocolatey 그런건 설치 안해도 됩니다.
2.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윈도우는 하단 검색 메뉴에서 "powershell" 검색해서 실행,
맥북은 런치패드에서 "터미널" 검색해서 실행해보시면 됩니다.
그럼 터미널이라고 부르는 이상한 창이 나오는데 이게 여러분들 컴퓨터를 맘대로 조작하는 곳입니다.
그냥 윈도우 바탕화면이랑 똑같은 곳인데 클릭이 아니라 명령어로 조작할 뿐입니다.
npm install -g @google/gemini-cli
터미널에 이런 명령어 입력하고 엔터치면 Gemini CLI 설치가 가능합니다.
- 이상한 권한없다는 에러가 뜨면 윈도우는 검색메뉴에서 powershell 검색 - 관리자모드로 실행 후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입력 후 y 입력해서 엔터 쳐봅시다.
- 맥북은 sudo npm install -g @google/gemini-cli 이런 명령어로 입력해봅시다. 맥북 비번을 입력해야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설치가 됐으면 아무데서나 powershell 또는 터미널 열어서 gemini라고 입력하면 그 자리에서 바로 AI agen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맨 처음 켜면 테마라든지 그런거 셋팅하고 구글 로그인도 하라고 하는데 하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Gemini CLI만 설치해서 쓰실 분들은 코드 에디터같은걸 함께 쓰는게 편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VSCode 에디터가 있는데 그것도 구글에 검색해서 설치해보시면 되겠습니다.
뭘 하든 파일들을 주로 다루게 될텐데 파일들을 에디터로 한 눈에 보는게 편리하니까요.
MCP 쓰려면 Node.js, Python 자주 필요
MCP 많이 쓸 것이면 Node.js, 파이썬이 매우 자주 필요하기 때문에 그냥 미리 설치합시다.
Node.js 설치는 아까 설명했으니까 패스하고
파이썬 설치는 그냥 구글에 파이썬 검색해서 다운로드해서 설치하면 되겠습니다.

▲ 참고로 윈도우는 설치할 때 PATH에 등록하기 (또는 environment variable에 등록하기) 는 체크하고 설치합시다.
에디터 쓰려면
그럼 이제 AI agent로 이거저거 해볼 준비가 끝났습니다.
Cursor 또는 VSCode 에디터를 켜봅시다.
어디있는지 모르겠으면 윈도우는 검색메뉴에서 검색해봅시다.

켜면 상단에서 File - Open Folder 메뉴에서 폴더 오픈을 할 수 있는데
여러분이 작업용으로 쓸 폴더를 하나 만들어서 오픈 한 뒤에 시작하면 되겠습니다.
사진처럼 내 작업폴더 이름이 뜨면 성공입니다.
폴더오픈 안하고 AI한테 이거저거 명령 내리면 안됩니다.

AI를 소환하려면
Cursor 쓰는 분들은 오른쪽 창을 열 수 있는 버튼이 어딘가에 있는데 그거 누르면 AI 소환이 가능합니다.
Agent라고 되어있으면 Agent모드로 돌아갑니다.

Gemini CLI 쓰는 분들은 폴더 오픈한 뒤에
사진처럼 터미널 오픈 버튼이 어딘가에 있는데 그거 눌러서 터미널 열어서 gemini 입력해서 쓰면 됩니다.
그냥 UI가 있는 곳이 터미널일 뿐이지 늘 쓰던 AI들 처럼 쓰면 됩니다.
주의사항
이런 프로그램 쓸 때 무료 계정으로 사용하면 여러분이 AI에 제출한 내용들은 AI 학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돈을 내면 대부분은 학습용으로 사용되진 않습니다.
그래서 개인정보, 아이디, 비번같은 민감한 정보들을 AI에게 보낼 일이 있으면 돈내고 쓰는게 맞습니다.
Gemini CLI같은 경우에도
1. Google AI Studio 들어가서 2. API키 발급받아와서 3. API키를 Gemini에 입력해서 쓰면 돈내고 쓸 수 있으니까 참고하도록 합시다.
다만 agent는 토큰을 상당히 많이 사용해서 과금량은 중간중간 언제나 체크해보도록 합시다.
https://aistudio.google.com/apikey 들어갑시다.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면 어딘가에 API key 만들기 버튼이 있는데 누릅니다.

그럼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거나 기존 프로젝트를 선택해서 API key를 만들어줍시다.
프로젝트는 그냥 과금용 폴더같은 개념입니다.
그럼 API key가 발급되는데 그걸 복사해둡니다.

하지만 카드등록을 마쳐야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페이지 하단보면 결제설정을 바꿀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들어가면 메뉴 중에 "결제 수단"을 찾아서 결제용 카드를 입력해서 사용하도록 합시다.
VSCode 에디터 상단메뉴에서 File - Open Folder 눌러서 작업용 폴더를 하나 오픈합니다.
작업용으로 쓸 폴더가 없으면 하나 만들어줍시다.

왼쪽 파일 트리에서 우클릭하면 파일을 만들 수 있는데
.env 이름의 파일을 만들어서 GEMINI_API_KEY= 라고 적고 오른쪽에 API key 발급받은걸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그럼 이제 해당 폴더의 터미널에서 Gemini 실행할 때 /auth 입력하면 API key로 사용방식을 바꿀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사용한 만큼 과금이 이루어집니다.
참고로 다른 작업용 폴더를 사용하고 싶으면 다시 .env 파일을 그 안에 만들어주면 되겠습니다.

-
Add a 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