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리스트 List 자료형
4:03 딕셔너리 Dictionary 자료형
중고차 판매사이트를 만들어 호구를 몇놈 잡아 잘먹고 잘살고싶어졌습니다.
그러기 위해 일단 판매할 중고차 데이터를 파이썬으로 저장해놓기로 합니다.
그래서 판매할 첫 중고차 정보를 이렇게 변수에 저장했습니다.
중고차 = 'K5 white 5000만원 무사고 2020년식 3만킬로'
근데 딱봐도 조잡해보입니다.
이렇게 하나의 문자로 수많은 정보를 길게 적어놓으면 되겠습니까.
그럼 나중에 가격을 맘대로 수정하거나 그러고 싶을 때 귀찮아질 수 있습니다.
그럴 땐 엑셀처럼 깔끔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리스트 List 자료형을 만들어 쓰시면 됩니다.
여러 정보를 엑셀처럼 깔끔하게 저장하려면
엑셀의 행처럼 저장하고 싶으면 그냥 콤마로 여러 자료를 담으시면 됩니다.
중고차 = 'K5', 'white', 5000
이러면 3개의 정보를 하나의 변수에 깔끔히 저장가능합니다.
근데 콤마로 구분해서 저장하고싶으시면 꼭 [] 대괄호를 붙여주십시오.
중고차 = ['K5', 'white', 5000]
이러니까 뭔가 엑셀느낌나죠?
이걸 List 리스트 자료형이라고 부릅니다.
그냥 데이터 여러개를 하나의 행으로 쭉 저장하고 싶을 때 쓰십시오.
▲ 방금 저장한걸 엑셀에서 표현하자면 이런 느낌입니다.
리스트 자료 안엔 숫자, 문자 외에도 정말 모든 자료를 다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 또 다른 리스트도 집어넣을 수 있습니다.
중고차 = ['K5', 'white', [5000, 6000] ]
이런 것도 가능합니다.
▼ 엑셀로 표현하자면 이런 느낌?
저장한 여러개의 자료 중 원하는 것만 하나만 딱 출력하고 싶으면
중고차 = ['K5', 'white', 5000]
print(중고차[1])
이렇게 [] 대괄호안에 원하는 자료의 번호를 기재해주시면 원하는 것만 출력 가능합니다.
중고차[1] 이렇게 사용하면 그 자리에 1번째 자료인 'white'라는 데이터가 남습니다.
중고차[0] 이렇게 사용하면 그 자리에 0번째 자료인 'K5'라는 데이터가 남습니다.
중고차의 가격을 겁나비싸게 두배로 수정하고 싶으면 어떻게합니까.
예전에 배운 등호문법을 이용하시면 쉽게 수정가능합니다.
등호는 오른쪽 자료를 왼쪽에 집어넣어주세요~ 라는 뜻이랬죠?
그렇다면..
중고차 = ['K5', 'white', 5000]
중고차[2] = 10000
중고차[2]라는 자료에 10000을 집어넣어주세요~ 라는 뜻입니다. 그럼 자료수정이 되겠네요.
안믿기면 밑에서 중고차[2]를 출력한번 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튼 자료 여러개 저장하고 싶을 때 쓰시면 됩니다.
▼ 참고로 여기에 있는 5000이라는 자료를 어떻게 꺼내고 수정할 수 있을까요?
중고차 = ['K5', 'white', [5000, 6000] ]
중고차 = ['K5', 'white', [5000, 6000] ]
print(중고차[2][0])
이렇게 합니다. 왜인지는 잘 생각해보도록 합시다.
정보를 이렇게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아까랑 똑같은데 이번엔 대괄호가 아니라 중괄호에 담을 수도 있습니다.
중고차2 = {'BMW', '520d'}
역시 이러면 여러개의 정보를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중괄호가 더 이쁘니까 중괄호쓰실 분들은 중괄호를 쓰시길 바랍니다.
근데 실은 중괄호 쓰시려면 자료들 앞에 이름을 꼭 하나씩 써줘야합니다.
중고차2 = { 'brand' : 'BMW', 'model' : '520d'}
지금 BMW랑 520d 라는 자료 왼쪽에 각각 이름을 단거 보이십니까.
꼭 이름을 달아야 {} 중괄호로 자료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름은 자유롭게 문자로 작명하시면 되고요.
이걸 딕셔너리 Dictionary 자료형이라고 합니다.
특징은
- 자료에 이름을 달아서 저장할 수 있음
- 이쁨
굳이 엑셀로 비유하자면 2개 컬럼과 비슷합니다.
중고차2 = {
'brand' : 'BMW',
'model' : '520d'
}
이걸 엑셀로 표현하자면
▲ 이런 느낌 아닐까요.
딕셔너리 자료형에서 데이터를 원하는것만 끄집어내고 싶으면
자료의 이름을 불러주시면 됩니다.
예를들면 BMW라는 자료를 꺼내봅시다.
중고차2 = { 'brand' : 'BMW', 'model' : '520d'}
print(중고차2['brand'])
아까는 대괄호안에 중고차[1] 이렇게 숫자를 써넣었는데
여기선 자료의 이름을 불러주시면 꺼낼 수 있습니다.
(참고1) brand랑 model이라는건 자료가 아니라 자료의 이름입니다. 실제 자료는 BMW, 520d 두개가 들어있습니다.
(참고2) 자료 수정은 어떻게 할까요? 역시나 등호문법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이건 알아서 추론해보십시오.
(참고3) 역시 딕셔너리 안에도 모든 자료를 넣을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 안에 리스트, 딕셔너리 안에 딕셔너리도 가능합니다.
그래서 파이썬에서 자료 여러개 한번에 깔끔하게 엑셀처럼 저장하고 싶으면
리스트나 딕셔너리 둘 중 하나 아무거나 골라쓰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이만 ㅂㅂ