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버를 만들든
파이썬으로 AI모델을 돌리든
뭘하든 도커와 컨테이너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될텐데
왜냐면 이전과 다르게 프로그램을 컨테이너로 싸매서 배포 & 실행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도커를 사용하면 그 과정을 매우 쉽게 도와줍니다.
도커라는 툴을 배워보는 15강 이내의 짧은 강의인데
명령어 대충 따라해보는 식으로만 해도 쉽게 사용할 수는 있긴 한데
이걸 왜 쓰는건지 이유와 원리를 주로 설명해드리는 강의입니다.
그래야 나중에 직접 알아서 Dockerfile 작성하고, 이미지로 만들고, 배포도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배울 내용]
도커 쓰는 이유
이미지 만들기
컨테이너 띄우기
Dockerfile
Networking
Volume
Nginx,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로 만들어보기
Docker compose
Orchestration (AWS ECS)
[필요한 사전지식]
없습니다. 하지만 백엔드 지식이 있으면 감동이 2배
커리큘럼
Docker & Container | |||
도커가 바꾼 개발바닥 | 무료 | 00:06:00 | |
Docker 설치 & 이미지와 컨테이너 개념 | 무료 | 00:09:00 | |
Docker로 띄워볼 서버만들기 | 무료 | 00:07:00 | |
Dockerfile 명령어 & 이미지 만들기 | 무료 | 00:11:00 | |
컨테이너 다루기 | 00:08:00 | ||
성능을 위한 Dockerfile 작성법 | 00:11:00 | ||
Docker hub, push, pull | 00:06:00 | ||
Network 1. nginx 만들기 | 00:10:00 | ||
Network 2. 컨테이너간 통신 | 00:09:00 | ||
Volume 사용법과 PostgreSQL DB 띄우기 | 00:12:00 | ||
Docker compose 1. 서비스 작성하기 | 00:12:00 | ||
Docker compose 2. network, volume | 00:10:00 | ||
Docker compose 3. 실시간 개발, graceful shutdown | 00:13:00 | ||
Orchestration 1. 태스크, 서비스, 클러스터 개념정리 | 00:07:00 | ||
Orchestration 2. 태스크 정의, health check | 00:13:00 | ||
Orchestration 3. 서비스 만들기 | 00:14:00 |
수강생 리뷰
선생님
1061명의 수강생
개같이 달려왔습니다
마침 도커 시작중이였는데
이거 언제 열리는지 문의 넣으려고 들어왔는데
열려있어서 구매했어요 ;; 당황
도커 다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학원에선 도커 세팅부터 가르쳐서 야매로 아는 정도였는데 아직 완강은 아니지만 이번기회에 도커시스템 제대로 잡고 가고 싶어서 수강했습니다
신입 프론트 개발자입니다
듣고 CI/CD 구축까지 잘 해보겠습니다:)
도커가 뭔지도 모르고 썼었는데
덕분에 이게 뭐하는건지 이해하고 가겠네요
믿고 보닌 코딩애플!!!
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
캬
안그래도 배포 골머리싸는중인데 딱좋을때 출시됐네요
너무좋아요
싸랑해요
도커 입문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도커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해보려는 상황에
해당 도커 강의가 나와 결제하여 현재까지 올라온 내용까지 하루만에 수강하였습니다.
이해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잘먹겠습니다
냠냠
항상 뭐든지 쉽게 이해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책을 보면 이해하기가 어려웠는데
강의를 보니 넘 쉽게 이해가 됩니다.
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 !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와!
재밌는 강의입니다.
도커가 마냥 어려웠는데 간단하게 접근해주셔서 좋습니다
클라우드 엔지니어
도커 입문할때 듣기 좋은 강의네요.
툭툭 나오는 드립때문에 지루하지 않고 좋았습니다.
도커가 대체뭔데
강의듣고나니까 아 걍 git 2 구나 라고 느껴졌음
네트워크랑 엔진엑스 설명도 있어서 개이득본 기분입니다
배포같은경우엔 뭐 걍 사서쓰는거라 외울거 1도없을거같고 실제서비스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이건 직접 회사에서 배워가는게 맞을 것 같네요
아님말고요
오우오우
드디어 도커 강의 열렸네요. 5점 먼저 박고 시작합니다.
다음 강의
좋은 내용입니다.
다음에는 도커와 연관해서 쿠버네티스 강의 기대해도 될까요
Docker 게시판이 안보여서 여기 질문 올려봅니다.
Dockerfile 최적화 강의 중에 자바 같은 경우 1. 빌드 이미지에서 빌드 2. 서비스 이미지 생성 순으로 하면 용량을 줄일 수 있다고 하셨는데,
굳이 Docker에서 빌드하지 않고 빌드된거.jar 파일을 Docker 이미지에 올려서 실행하면 이미지 빌드 시간을 줄일 수 있지 않나요?